목차
반응형
우리 주변에서 자주 듣는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살리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좋다는 건 알지만,
실제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헷갈릴 때도 많죠.
오늘은 온누리상품권이란 무엇인지,
지류형·디지털형 차이, 어떠한 사용처들이 있는지,
사용 꿀팁과 함께 정리해 봅니다.
1. 온누리상품권이란?
- 발행 주체: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목적: 전통시장 및 상점가, 지역 상권을 살리고 골목상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상품권
- 형태:
• 지류형 상품권—종이 형태로 오프라인 전통시장 등에서 사용 가능
• 디지털형 상품권—앱이나 QR코드, 온라인 전통시장관 등에서 사용 가능. - 권종 / 유효기간:
• 지류형은 일반적으로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 등이 있음
• 유효기간은 발행일로부터 5년
2.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오프라인 사용처
-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골목형 상점가, 상권활성화 구역 및 자율상권구역 내 가맹점들.
- 특히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스타 가맹점들이 있음. (예: 서울 광장시장, 망원시장, 남대문시장, 수원 팔달문시장, 지방 도시 전통시장 등 다양한 지역의 맛집, 반찬가게, 수산물가게, 식당 등이 포함)
온라인 사용처
디지털형 상품권을 중심으로 온라인에서도 사용 가능한 곳들이 늘고 있음:
- 온누리 상품권 공식 온라인 전통시장관
- 먹깨비(앱), 우체국쇼핑, 보물마켓, 배달의 명수(앱), 롯데ON 온누리스토어 등 다양한 앱/몰에서 온누리 디지털 상품권 사용 가능.
- 또 “온누리마켓”, “인더마켓온누리몰” 등 전통시장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플랫폼들에서도 활용 가능.
3. 사용 시 알아두면 좋은 꿀팁
항목 | 설명 |
잔액 현금교환 | 지류상품권 사용 시, 권면금액의 60% 이상 구매하면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음. |
현금영수증 & 소득공제 | 상품권 자체는 유가증권이므로, 상품 교환 시 현금영수증 발급 가능하고 소득공제 대상이 됨. |
가맹점 확인 | 오프라인 시장 가맹점인지, 온라인 사용처인지 공식 웹사이트(온누리상품권 사이트)나 앱에서 먼저 확인하면 헷갈림 방지됨. |
사용 가능 업종 범위 | 과거엔 일부 제한 업종이 있었으나 점차 완화됨. 하지만 병원, 학원, 노래방 등 특정 업종은 가맹 여부 및 규정 확인 필요. |
4. 실제 사용 예시
- 장보기: 수산물, 고기, 반찬가게, 채소가게. 시장 내 생필품 구입 가능.
- 외식/먹거리: 시장 내 식당, 분식집, 김치나 전 같은 길거리 음식.
- 기념품/특산물 구매: 지역 전통시장 특산품, 수공예품, 지역 농산물.
- 온라인으로 주문: 먹깨비 앱에서 상품 주문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 가능.
5. 마무리 생각 & 제안
온누리상품권은 단순히 지역경제와 전통시장을 돕는 수단만이 아니라, 우리 일상과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을 지탱하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지역 맛집 탐방, 주말 전통시장 나들이, 가족·친구 선물 고민을 하고 있다면 온누리상품권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요.
반응형
'알쓸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무원 합격의 모든 것: 2025년 최신 군무원 기준 총정리! (12) | 2025.09.14 |
---|---|
2025년 인천시 공공근로 — 자격부터 모집 일정·급여까지 완전 정복! (10) | 2025.09.13 |
2025년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조건 완벽 정리 — 한도·금리·신청요건까지 한눈에! (2) | 2025.09.13 |
군(軍)무원 준비, 여기서부터 시작! 자격요건 한눈에 정리 (23) | 2025.09.12 |
2025년 서울시 공공근로 완전 정복 — 참여 조건부터 모집 일정·급여까지 한눈에! (6)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