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추석 사용방법

by 쏘쏘라이프 2025. 9. 15.

목차

    반응형

    우리 주변에서 자주 듣는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살리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좋다는 건 알지만,

    실제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헷갈릴 때도 많죠.

     

    오늘은 온누리상품권이란 무엇인지,

    지류형·디지털형 차이, 어떠한 사용처들이 있는지,

    사용 꿀팁과 함께 정리해 봅니다.


    1. 온누리상품권이란?

    • 발행 주체: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목적: 전통시장 및 상점가, 지역 상권을 살리고 골목상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상품권
    • 형태:
      • 지류형 상품권—종이 형태로 오프라인 전통시장 등에서 사용 가능
      • 디지털형 상품권—앱이나 QR코드, 온라인 전통시장관 등에서 사용 가능.
    • 권종 / 유효기간:
      • 지류형은 일반적으로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 등이 있음
      • 유효기간은 발행일로부터 5년

    2.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오프라인 사용처

    •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골목형 상점가, 상권활성화 구역 및 자율상권구역 내 가맹점들.
    • 특히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스타 가맹점들이 있음. (예: 서울 광장시장, 망원시장, 남대문시장, 수원 팔달문시장, 지방 도시 전통시장 등 다양한 지역의 맛집, 반찬가게, 수산물가게, 식당 등이 포함)

    온라인 사용처

    디지털형 상품권을 중심으로 온라인에서도 사용 가능한 곳들이 늘고 있음:

    • 온누리 상품권 공식 온라인 전통시장관
    • 먹깨비(앱), 우체국쇼핑, 보물마켓, 배달의 명수(앱), 롯데ON 온누리스토어 등 다양한 앱/몰에서 온누리 디지털 상품권 사용 가능.
    • 또 “온누리마켓”, “인더마켓온누리몰” 등 전통시장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플랫폼들에서도 활용 가능.

    3. 사용 시 알아두면 좋은 꿀팁

    항목 설명
    잔액 현금교환 지류상품권 사용 시, 권면금액의 60% 이상 구매하면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음. 
    현금영수증 & 소득공제 상품권 자체는 유가증권이므로, 상품 교환 시 현금영수증 발급 가능하고 소득공제 대상이 됨.
    가맹점 확인 오프라인 시장 가맹점인지, 온라인 사용처인지 공식 웹사이트(온누리상품권 사이트)나 앱에서 먼저 확인하면 헷갈림 방지됨. 
    사용 가능 업종 범위 과거엔 일부 제한 업종이 있었으나 점차 완화됨. 하지만 병원, 학원, 노래방 등 특정 업종은 가맹 여부 및 규정 확인 필요. 

    4. 실제 사용 예시

    • 장보기: 수산물, 고기, 반찬가게, 채소가게. 시장 내 생필품 구입 가능.
    • 외식/먹거리: 시장 내 식당, 분식집, 김치나 전 같은 길거리 음식.
    • 기념품/특산물 구매: 지역 전통시장 특산품, 수공예품, 지역 농산물.
    • 온라인으로 주문: 먹깨비 앱에서 상품 주문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 가능.

    5. 마무리 생각 & 제안

    온누리상품권은 단순히 지역경제와 전통시장을 돕는 수단만이 아니라, 우리 일상과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을 지탱하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지역 맛집 탐방, 주말 전통시장 나들이, 가족·친구 선물 고민을 하고 있다면 온누리상품권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요.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