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면허 없어도, 차 없어도 즐기는 국내 여름 여행지 TOP 5
여행은 꼭 자동차가 있어야만 떠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KTX, ITX, 고속버스, 지하철 등을 이용하면 자차 없이도 편하고 알차게 여행을 즐길 수 있어요. 오늘은 면허가 없거나 차가 없어도 쉽게 떠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여름 휴가지 추천을 소개합니다!
1. KTX 타고 바다로, 강릉 여행
- 이동 방법: 서울역 or 청량리역 → KTX 강릉선 (약 2시간)
- 핵심 코스: 안목해변 커피거리 → 경포해변 산책 → 초당순두부 거리
- 여행 팁: 도보와 시내버스만으로 대부분 관광 가능
강릉은 KTX 개통 이후 서울에서 무척 가까워졌습니다. 바다, 맛집, 카페거리, 그리고 감성적인 산책로까지... 차 없이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해변 도시 여행이 가능합니다.
💰 예산: KTX 왕복 약 5
6만 원 / 1박 게스트하우스 기준 숙박비 24만 원
2. ITX 타고 떠나는 자연 속 힐링, 춘천
- 이동 방법: 용산역 → ITX 청춘열차 (약 1시간 10분)
- 추천 코스: 남이섬 → 소양강 스카이워크 → 공지천 → 닭갈비 거리
- 추가 팁: 자전거 대여 가능 / 시내버스 연계성 우수
춘천은 교통이 편리하고 도보 여행도 잘 갖춰진 소도시입니다. 낭만적인 호숫가 풍경과 저렴한 물가 덕분에 자차 없이 여행하기에 아주 좋은 여름 피서지입니다.
💰 예산: ITX 왕복 약 1
2만 원 / 입장료·식비 포함 1일 56만 원 내외
3. 고속버스 타고 가는 감성 도시, 전주 한옥마을
- 이동 방법: 센트럴시티터미널 or 동서울터미널 → 전주 고속버스터미널 (2시간 30분)
- 추천 데이트코스: 전주한옥마을 → 한복체험 → 막걸리 골목 → 경기전
- 장점: 도보와 전동킥보드로 모든 관광지 이동 가능
전주는 도보 중심의 소도시 여행이 가능해 차 없이 여행하는 사람에게 딱 맞는 곳입니다. 여름철에도 한옥과 전통문화 속에서 느긋하게 즐기는 여행이 가능합니다.
💰 예산: 왕복 버스비 약 2
3만 원 / 1박 숙소 35만 원 / 식비 저렴
4. 지하철 타고 한강 너머로, 양평 당일치기 여행
- 이동 방법: 경의중앙선 → 양수역, 양평역, 용문역
- 핵심 명소: 두물머리 → 세미원 연꽃정원 → 양평시장
- 자연 속 힐링: 북한강 자전거도로, 연꽃 정원 산책
서울에서 지하철만 타고 떠나는 여름 여행이라니, 믿기 어렵지만 가능합니다! 양평은 당일치기 자연 여행지로 인기가 높으며, 주말이면 피크닉족과 커플들로 북적입니다.
💰 예산: 왕복 교통비 약 5천~1만 원 / 입장료 5천 원대 / 도시락 지참 시 저렴
5. 제주도도 자차 없이 OK! 제주 버스 여행
- 이동 방법: 김포공항 → 제주공항 (1시간 소요, LCC 항공권 저렴)
- 버스 여행 팁: 공항 리무진, 시외버스, 관광지 연계 노선 다양
- 추천 코스: 공항 → 함덕 → 성산 → 서귀포 순환
요즘은 제주도도 ‘렌터카 없이’ 여행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제주 시외버스 노선이 잘 정비되어 있고, 인기 여행지는 대부분 버스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게스트하우스에서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 대여도 가능해요.
💰 예산: 왕복 항공권 5~7만 원 / 버스패스권 이용 / 숙박은 게스트하우스로 저렴하게
자차 없이 여행하는 꿀팁 🚶♂️
✅ 출발 전 교통앱 확인: 코레일톡, 고속버스모바일, 카카오맵 등 필수
✅ 여행 짐 최소화: 대중교통 이동 시 백팩 1개 정도가 가장 편함
✅ 모바일 결제 준비: 버스·지하철·숙소 예약까지 스마트폰 하나로 가능
✅ 게스트하우스/호스텔 추천: 저렴하고 교통 접근성 좋음
마무리 🧳
차가 없다고 여름 여행을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KTX, ITX, 고속버스, 지하철만 잘 활용해도 충분히 즐거운 여행이 가능하니까요. 오늘 소개한 자차 없이 떠나는 여름휴가지 추천 리스트를 참고해 알차고 가벼운 여름휴가를 계획해보세요.
'알쓸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건강관리 필수 가이드: 무더위 속 건강을 지키는 7가지 습관 (6) | 2025.07.03 |
---|---|
열대야 수면 꿀팁: 더운 여름밤, 꿀잠 자는 법 총정리 (5) | 2025.07.02 |
무더위쉼터 찾기 가이드: 폭염 속 생명을 지키는 여름 필수 정보 (2) | 2025.07.02 |
2025 여름 날씨 전망: 폭염·장마·태풍 미리 대비하세요! (4) | 2025.07.01 |
여름철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 일사병과 열사병 증상과 대처법까지!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