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어 문법1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확실하게 구분하기 우리말에서 자주 사용되는 부정 표현, 바로 ‘않다’와 ‘안다’입니다.짧고 간단해 보이지만 이 둘은 의미도, 품사도 완전히 다릅니다.헷갈려서 잘못 쓰면 문장의 뜻이 어색해지고, 때로는 반대 의미가 될 수도 있죠!오늘 이 글에서는 ‘않다’와 ‘안다’의 정확한 차이점과 쓰임, 그리고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1. ‘않다’는 동사나 형용사를 부정하는 보조 동사‘않다’는 동작이나 상태를 부정할 때 쓰는 보조 동사입니다.주로 안 + 하다의 격식체 표현이죠.다양한 동사나 형용사와 함께 쓰이며, 서술어(문장의 동사나 형용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문나는 숙제를 하지 않았다.그 말이 믿기지 않는다.노력하지 않으면 결과도 없다.그는 대답조차 않았다.📌 ‘~하지 않다’, ‘~되지 않다’, ‘~보지 않다.. 2025. 7.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