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이슈

[이슈]대통령실 청년담당관 신설 및 채용!

by 쏘쏘라이프 2025. 7. 7.

목차

    반응형

    요즘 포털사이트 인기 검색어에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채용’입니다. 단순한 채용 공고임에도 불구하고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청년담당관 채용, 왜 주목받나?

    최근 대통령실이 청년 정책을 전담할 ‘청년담당관’ 직책을 신설하고, 이에 대한 공개 채용을 시작했습니다. 이 소식은 곧바로 관심을 끌며 각종 포털사이트 인기 검색어로 떠올랐습니다.

    무엇보다 이 채용은 일반적인 공공기관 채용과는 다릅니다. 바로, **학력, 경력, 가족 배경을 일절 보지 않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청년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 무엇이 다른가? 채용 방식의 특징

    • 모든 스펙 무시:
      학력, 출신 학교, 가족관계, 경력 등은 아예 요구하지 않습니다. 나이 확인용 기본 증명서만 제출하면 됩니다.
    • 오직 ‘정책 제안서’와 ‘면접’으로 평가:
      지원자가 제출한 청년 정책 제안서를 바탕으로 발표 및 면접을 통해 선발합니다.
    • 블라인드 채용의 실현:
      형식적으로만 블라인드를 표방하던 기존 채용과 달리, 완전한 비공식 정보 배제를 선언한 채용입니다.

    🧑‍🤝‍🧑 누구를 뽑나?

    • 채용 인원: 남성 1명, 여성 1명 총 2명
    • 지원 자격: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대한민국 청년
    • 소속: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실
    • 담당 업무:
      • 청년 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
      • 청년 참여 플랫폼 운영
      •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 정책 기획

    🧭 왜 이런 방식인가?

    이 채용 방식은 이재명 대통령의 청년 인재 등용 철학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과거 경기도지사 시절에도 청년비서관을 정책 제안과 면접만으로 뽑았던 전례가 있는데, 이번에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스펙 중심의 공채 구조에서 탈피하고, 청년들이 정책의 당사자로서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 앞으로 더 확대될까?

    대통령실은 이번 채용을 시작으로, 공공분야 청년 인턴 채용 등에도 공정 채용 방식을 확대 적용할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는 공공기관 채용 문화 전반에 스펙이 아닌 실력과 아이디어 중심의 채용 패러다임 전환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이번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채용은 단순한 청년 일자리 정책을 넘어, 청년 세대와 소통하고 정책의 당사자로 참여시키려는 변화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채용을 계기로 정책에 목소리를 내고 싶었던 청년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해봅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 공식 홈페이지

    www.president.go.kr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