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

재산세 납부기간, 납부방법 총정리|2025년 재산세 가이드

by 쏘쏘라이프 2025. 7. 19.

목차

    반응형

    매년 7월과 9월이면 어김없이 도착하는 재산세 고지서.
    하지만 재산세가 정확히 어떤 세금인지, 언제까지 어떻게 납부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 납부 방법, 과세 기준일, 감면 대상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 재산세란?

    재산세는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지방세로, 부동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과세 대상: 주택, 건물, 토지 등 부동산
    • 부과 주체: 각 시·군·구청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즉,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그 해 재산세 납세 의무자가 됩니다.


    📅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

    과세 대상 납부 시기 비고
    주택(1/2) 7월 16일 ~ 7월 31일 1/2 분할 과세
    주택(2/2) 9월 16일 ~ 9월 30일 잔여 1/2 납부
    건축물 및 항공기 7월 16일 ~ 7월 31일 주택과 함께 과세 가능
    토지 9월 16일 ~ 9월 30일 별도 과세

     

    📝 주택은 연세액이 20만 원을 초과할 경우 7월과 9월에 2회 분할 납부됩니다.
    2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7월에 일괄 부과됩니다.


    💳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는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 중 편한 방식으로 선택하세요.

    1. 인터넷 납부

    • 위택스(www.wetax.go.kr) 또는 지방세입계좌 납부 사이트
    •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납부 가능

    2. 스마트폰 납부

    • 지방세입 앱,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등에서 바로 납부 가능

    3. 금융기관 창구

    • 고지서를 지참하고 은행, 우체국 등에서 직접 납부

    4. 가상계좌 납부

    • 고지서에 기재된 가상계좌번호로 이체

    5. 자동이체

    • 사전 신청 시 자동으로 납부 가능

    납부기한을 놓치면 3% 가산금이 부과되므로 꼭 기한 내 납부하세요.


    📊 재산세 세율 (기본 개요)

    재산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주택과 토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 주택분 재산세율 (과세표준 기준)

    과세표준 세율
    6천만 원 이하 0.1%
    6천만 원 초과 ~ 1억5천만 원 이하 0.15%
    1억5천만 원 초과 0.25%

    여기에 지방교육세(재산세의 20%)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 1세대 1주택자는 세금 감면 받을 수 있나요?

    네. 1세대 1주택자에게는 다양한 세율 특례감면 혜택이 적용됩니다.

    •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의 1세대 1주택자: 세율 특례 적용 (일반 주택보다 낮은 세율)
    • 장기보유자 감면: 5년 이상 거주 시 세율 경감
    • 고령자 감면: 60세 이상 고령자는 일정 조건 충족 시 일부 감면 가능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관할 구청에 신청서 제출이 필요할 수 있으니 확인하세요.


    ❗ 주의사항: 이런 경우도 재산세 납부 대상입니다

    • 부동산 명의가 자녀 명의인 경우에도 자녀가 납세의무자입니다.
    • 증여나 매매가 6월 1일 이후에 이뤄졌다면, 그 해 재산세는 이전 소유자가 납부해야 합니다.
    • 공동명의일 경우에는 각 명의자에게 지분 비율만큼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 FAQ 자주 묻는 질문

    Q. 재산세 고지서는 언제 오나요?

    • 보통 납부기한 1~2주 전에 우편 또는 전자 고지 형태로 발송됩니다.

    Q. 분할 납부도 가능한가요?

    • 네. 주택분 재산세는 일정 금액 초과 시 7월/9월 분할 과세됩니다.

    Q. 연체하면 어떻게 되나요?

    • 3% 가산금 + 일정 기간 이후 중가산금(매월 0.75%)까지 부과됩니다.

    ✅ 마무리: 재산세는 제때 납부가 최선

    재산세는 매년 반복되는 세금이지만, 납부 기간을 놓치거나 감면 혜택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내용을 참고해, 미리미리 준비하시고 납부도 제때 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좋아요와 공유도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