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

배우자 출산휴가·유산·사산휴가 급여 신청 핵심 가이드

by 쏘쏘라이프 2025. 9. 8.

목차

    반응형

    2025년부터 개정된 배우자 출산휴가와 유산·사산휴가 출산휴가 급여 제도를 상세 정리했습니다. 휴가 기간, 신청 요건, 급여 지원 및 사용 방식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1.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2025년 개정 기준)

    ■ 주요 변경 사항

    • 2025년 2월 23일자로 배우자 출산휴가(아빠 휴가) 10일 → 20일(유급)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사용 기한은 출산일로부터 120일 이내로 연장
    • 분할 사용도 최대 3회 → 4회 가능

    ■ 급여 지원 내용

    • 배우자 출산휴가는 유급휴가이며, 통상임금 100% 기준으로 상한액 1,607,650원까지 지원
    • 우선지원 대상기업 근로자에게는 전 기간 지원되며, 사업주 대위신청도 가능

    ■ 기타 법적 보호

    • 120일 경과 시 사용 불가, 휴가 3회 제한, 불리한 처우 금지 규정 포함
    • 위반 시 과태료 부과 대상 (최대 500만 원)

    2. 유산·사산휴가 제도 (2025년 기준)

    ■ 휴가 기간 (임신 주수별)

    • 15주 이내: 유산·사산일로부터 10일까지
    • 16~21주: 30일까지
    • 22~27주: 60일까지
    • 28주 이상: 90일까지

    ■ 급여 지원 및 신청 절차

    • 법령상 유급 여부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행정해석과 일부 자료에서는 유급으로 휴가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음을 시사 (블로그 등 출처 참고)
    • 신청 시에는 유산·사산 발생일 및 임신 기간을 포함한 의료기관 진단서 첨부가 필요

    ■ 법적 보호

    • 유산·사산 휴가 청구 시, 사용자는 해당 기간 동안 휴가를 줘야 하며, 규정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가능

    3. 전체 비교표

    항목 배우자 출산휴가유산·사산휴가
    휴가 기간 20일 유급, 120일 이내 사용 임신 주수에 따라 10~90일까지
    분할 사용 최대 4회까지 해당 없음
    급여 지원 통상임금 100%, 상한 1,607,650원 법령에는 유급 명시 없으나 일부 지원 사례 존재
    신청 조건 고지 필요, 사용 기한 내 신청 진단서 첨부 및 청구 필요
    법적 제재 과태료 최대 500만 원 벌금 또는 징역 가능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