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

배우자 출산휴가·유산·사산휴가 급여 신청 핵심 가이드

by 쏘쏘라이프 2025. 9. 8.
반응형

2025년부터 개정된 배우자 출산휴가와 유산·사산휴가 출산휴가 급여 제도를 상세 정리했습니다. 휴가 기간, 신청 요건, 급여 지원 및 사용 방식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1.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2025년 개정 기준)

■ 주요 변경 사항

  • 2025년 2월 23일자로 배우자 출산휴가(아빠 휴가) 10일 → 20일(유급)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사용 기한은 출산일로부터 120일 이내로 연장
  • 분할 사용도 최대 3회 → 4회 가능

■ 급여 지원 내용

  • 배우자 출산휴가는 유급휴가이며, 통상임금 100% 기준으로 상한액 1,607,650원까지 지원
  • 우선지원 대상기업 근로자에게는 전 기간 지원되며, 사업주 대위신청도 가능

■ 기타 법적 보호

  • 120일 경과 시 사용 불가, 휴가 3회 제한, 불리한 처우 금지 규정 포함
  • 위반 시 과태료 부과 대상 (최대 500만 원)

2. 유산·사산휴가 제도 (2025년 기준)

■ 휴가 기간 (임신 주수별)

  • 15주 이내: 유산·사산일로부터 10일까지
  • 16~21주: 30일까지
  • 22~27주: 60일까지
  • 28주 이상: 90일까지

■ 급여 지원 및 신청 절차

  • 법령상 유급 여부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행정해석과 일부 자료에서는 유급으로 휴가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음을 시사 (블로그 등 출처 참고)
  • 신청 시에는 유산·사산 발생일 및 임신 기간을 포함한 의료기관 진단서 첨부가 필요

■ 법적 보호

  • 유산·사산 휴가 청구 시, 사용자는 해당 기간 동안 휴가를 줘야 하며, 규정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가능

3. 전체 비교표

항목 배우자 출산휴가유산·사산휴가
휴가 기간 20일 유급, 120일 이내 사용 임신 주수에 따라 10~90일까지
분할 사용 최대 4회까지 해당 없음
급여 지원 통상임금 100%, 상한 1,607,650원 법령에는 유급 명시 없으나 일부 지원 사례 존재
신청 조건 고지 필요, 사용 기한 내 신청 진단서 첨부 및 청구 필요
법적 제재 과태료 최대 500만 원 벌금 또는 징역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