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이슈

[이슈]트럼프 전 대통령,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 예고…8월 1일부터 시행

by 쏘쏘라이프 2025. 7. 8.

목차

    반응형

    2025년 7월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공식 통보했습니다. 이 조치는 지난 4월 2일 발표했던 관세 정책을 재시행하는 것으로, 한국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하고 있습니다.

    01
    도널드트럼프 미 대통령 서한 전문

    🔹 상호관세란?

    상호관세는 상대국의 관세 수준만큼 미국도 대응해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무역 정책의 핵심 수단으로 자주 사용해온 조치입니다. 이번 조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일괄적으로 25%의 추가 관세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파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 트럼프의 입장 요약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밝혔습니다.

    • "무역 적자가 너무 심각하다"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미국에 불리한 무역 구조를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현재의 적자는 미국 경제뿐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위협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이 관세는 기존의 개별 품목별 관세 외에 추가로 부과되며, 우회 수출되는 제품도 예외 없이 포함됩니다.
    • "한국이 미국 내 생산하면 면세 혜택"
      만약 한국 기업이 미국 내 공장을 세우거나 생산 활동을 한다면, 해당 제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 "협상의 여지는 있다"
      무역 장벽을 철폐하고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관세율 조정도 가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즉, 무역 협상 결과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 일본에도 25% 관세 통보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도 같은 날 25%의 상호관세를 통보했습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24%보다 1%포인트 상향된 수치로, 일본 역시 무역 장벽과 관련된 협상의 압박을 받게 됐습니다.


    🔹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이번 발표는 단순한 통보 수준을 넘어, 실제 무역·수출 구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치입니다. 특히:

    • 자동차, 반도체, 전자제품 등 주요 수출 품목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으며
    •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들에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향후 무역협상에서 관세 철폐를 위한 압박 카드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향후 전망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 시장을 개방하고 무역 장벽을 철폐한다면 관세를 재조정하겠다”며 협상의 문을 열어뒀습니다. 8월 1일 이전까지 한국 정부의 대응과 협상력이 관세 시행 여부와 강도를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 요약

    • 트럼프, 8월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예고
    • 무역 적자 해소·미국 내 생산 유도 목적
    • 협상 여지는 열어둬…무역 장벽 철폐 시 조정 가능
    • 한국 기업·정부의 대응이 중요해진 상황

    앞으로의 무역 협상과 외교 대응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