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이슈

[이슈] 트럼프 행정부 철강·알루미늄·반도체 관세 확대, 관련 수혜주 어디?

by 쏘쏘라이프 2025. 8. 18.

목차

    반응형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과 알루미늄에 이어 반도체까지 관세 부과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산업계와 증시가 크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이번 정책은 단순히 무역 분쟁을 넘어 미국 내 제조업 육성 전략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이슈와 관련된 국내 철강주, 알루미늄주, 반도체주는 어떤 종목이 있을까요?


    철강 관세 관련주

    미국은 이미 25%였던 철강 관세를 50%로 올리고, 이번에 407개 품목을 추가하면서 철강 파생 제품까지 관세 부과를 확대했습니다. 이는 한국 철강업계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 포스코홀딩스
      한국을 대표하는 철강 대장주로 글로벌 철강 시장 점유율이 높습니다. 미국 수출 비중은 크지 않지만, 글로벌 공급 부족 시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현대제철
      자동차용 강판과 봉형강에서 강점을 가진 기업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수출 제한을 받으면 단기 악재지만, 내수·현대차 그룹 계열 수요로 방어력이 있습니다.
    • 세아제강·세아베스틸지주
      강관, 특수강 등 파생제품을 생산합니다. 미국에서 고율 관세가 적용되면 단기 부담이 있지만, 대체 공급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동국제강
      봉형강, 후판에 강점이 있으며 미국 법인(DKI)이 있어 현지 생산을 통한 방어가 가능합니다.

    👉 정리: 단기적으로는 수출 부담이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 국내 철강 대형주들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알루미늄 관세 관련주

    알루미늄 역시 철강과 마찬가지로 50% 관세 확대 품목에 포함되었습니다. 알루미늄은 전기차, 2차전지 소재에도 사용되기에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입니다.

    • 조일알미늄
      알루미늄 판재, 박, 봉을 생산하며 2차전지 소재까지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알루미늄 대표적인 테마주로 꼽힙니다.
    • 알루코
      건축자재, 자동차 경량화 부품용 알루미늄 압출 제품을 생산합니다. 미국 내 건설 및 자동차 수요와도 연관성이 높습니다.
    • 삼아알미늄
      알루미늄 박 전문 기업으로, 2차전지 음극재용 포일을 공급합니다. 친환경 모멘텀과 맞물려 수혜 기대가 있습니다.
    • 고려아연
      아연·알루미늄 제련 분야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합니다.

    👉 정리: 알루미늄은 철강 대비 친환경 수요가 더 크기 때문에, 관세 이슈가 오히려 가격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도체 관세 관련주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중 반도체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초기에는 낮게 책정되지만, 미국 내 공장을 짓지 않는 기업은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에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이미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관세 부담이 적을 전망입니다.
    • SK하이닉스
      미국에 반도체 패키징 공장을 짓기로 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글로벌 2위 기업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DB하이텍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으로, 미국과의 협력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반도체 장비주 (원익IPS, 한미반도체, 주성엔지니어링 등)
      미국 내 반도체 공장 투자가 늘어나면, 장비주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소재주 (솔브레인, SK머티리얼즈, 후성 등)
      반도체 소재 국산화와 함께, 미국 공장 공급망 진입 기회가 있습니다.

    👉 정리: 반도체 관세는 단기적으로 불확실성이 크지만, 미국 내 투자 확대를 유도하는 정책이므로 한국 반도체 대형주와 장비·소재주들이 중장기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본 정리

    • 철강·알루미늄:
      → 단기적으로는 수출 차질 우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가격 상승과 대체 공급 기회가 열릴 수 있음.
    • 반도체:
      → 미국 내 투자 기업은 부담이 적고, 오히려 장비·소재 업체들이 수혜 가능성 큼.
    • 증시 영향:
      → 단기 변동성은 불가피하나, 정책 방향이 명확하기 때문에 관련주 중심으로 중장기 모멘텀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음.


    결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무역이 아닌 산업·안보 전략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 증시에서는 철강, 알루미늄, 반도체 관련 종목들이 이슈에 따라 단기 급등락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단기적인 뉴스에 따라 쫓아가기보다, 미국 내 투자 확대 여부, 글로벌 공급망 변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종목을 선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