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그는 일체 연락을 끊었다”
“그는 일절 연락을 하지 않았다”
이 문장들, 비슷해 보이지만 표현 방식은 전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 두 단어의 뜻, 용법, 예문, 그리고 구분 팁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일체(一切)’의 뜻과 쓰임
‘일체’는 ‘전부, 모두’라는 뜻의 명사 또는 관형사입니다.
긍정문, 부정문 모두 사용 가능하며, 주로 ‘모든 것’이라는 의미로 씁니다.
✅ 예문
- 일체 비용은 회사에서 부담합니다.
- 일체 서류를 제출하세요.
- 그는 일체의 책임을 지기로 했다.
- 그 사건과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공개했다.
📌 핵심 의미:
✔ 전부, 모두, 전체
✔ 긍정/부정문 모두 가능
✔ 관형사(일체의 ~)나 명사(일체를 ~)로 쓰임
2. ‘일절(一切)’의 뜻과 쓰임
‘일절’은 오직 ‘전혀, 아예’라는 뜻의 부사입니다.
✔️ 오직 부정문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 ‘전혀 ~하지 않다’는 강조의 의미로 쓰입니다.
✅ 예문
- 그는 일절 말을 하지 않았다.
- 일절 연락이 없다.
- 그 일에 대해선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
- 일절 변명도 하지 마라.
📌 핵심 의미:
✔ 전혀, 절대
✔ 항상 부정문에서만 사용
✔ 부사(동사나 형용사를 꾸밈)
3. 비교 요약표
구분 | 일체(一切) | 일절(一切) |
품사 | 명사, 관형사 | 부사 |
의미 | 전부, 모두, 전체 | 전혀, 아예 |
문장 용법 | 긍정/부정 모두 가능 | ❗항상 부정문에서만 사용 |
예문 | 일체 비용 지급 일체 책임 회피 |
일절 관여하지 않음 일절 반응이 없음 |
4. 자주 헷갈리는 예문 정리
문장 | 정답 | 이유 |
그는 연락을 ___ 끊었다. | 일절 | ‘전혀’의 뜻 → 부정 강조 |
___의 서류를 준비해 주세요. | 일체 | ‘모든’이라는 뜻의 관형사 |
그 일에 대해 ___ 말이 없다. | 일절 | ‘전혀 없다’ → 부정문 |
사고와 관련된 ___ 자료를 제출했습니다. | 일체 | ‘전부’의 의미로 긍정문 |
나는 그 일과는 ___ 무관하다. | 일절 | ‘전혀 무관’ → 부정 강조 |
5. 구분 꿀팁! 이렇게 기억하세요
🎯 기억 공식
- 일체 = ‘전부’, ‘모두’
👉 긍정/부정 모두 OK!
👉 “일체의 책임, 일체의 물건” - 일절 = ‘전혀’, ‘절대로’
👉 부정문에서만 사용!
👉 “일절 아니다, 일절 하지 마라”
✔️ 일절은 항상 부정문! (✅ 전혀, ❌ 전부)
6. 마무리 정리
표현 | 설명 | 예시 |
일체 | 전체, 전부 (명사/관형사) | 일체 물품, 일체를 제출함 |
일절 | 전혀, 절대 (부사, 부정만 가능) | 일절 관여 안 함, 일절 말하지 않음 |
👉 “일체는 다! / 일절은 전혀!”
이렇게 기억해두면 실수 없이 정확한 문장을 쓸 수 있습니다 😊
반응형
'알쓸쓸잡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반듯이 vs 반드시’ 완벽 정리! (3) | 2025.07.13 |
---|---|
헷갈리는 맞춤법 ‘묻다 vs 뭍다’ 완벽 정리! (6) | 2025.07.12 |
헷갈리는 맞춤법 ‘배다 vs 베다’ 정확한 구분법 (0) | 2025.07.12 |
헷갈리는 맞춤법 ‘매다 vs 메다’ 완벽 구분법! (6) | 2025.07.11 |
헷갈리는 맞춤법 ❌‘짖밟히다’ vs ✅‘짓밟히다’ (6)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