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배다 vs 베다’ 정확한 구분법

by 쏘쏘라이프 2025. 7. 12.
반응형

우리말에서 발음이 비슷한 말일수록 더 많이 헷갈립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배다’와 ‘베다’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의미, 예문, 구분 팁을 통해 정확한 사용법을 확실히 익혀보세요!


1. ‘배다’의 뜻과 쓰임

‘배다’스며들다, 익숙해지다, 깃들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또한, 태아를 가지다(임신하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 주요 의미별 예문

➤ (1) 스며들다, 배어들다

  • 옷에 땀이 배었다.
  • 생선 냄새가 방 안에 배어 있다.
  • 그 사람의 말투에 습관이 배어 나왔다.

➤ (2) 성격·습관·기운 등이 자연스럽게 드러남

  • 몸에 배인 버릇은 고치기 힘들다.
  • 사투리가 완전히 배어 있다.

➤ (3) (구어체) 임신하다

  • 아이를 배다.
  • 부인이 아이를 배었다고 한다.

📌 핵심 포인트

  • 무엇인가 스며들거나 깃들다
  • 감정, 냄새, 분위기, 습관 등에 주로 사용
  • 또는 임신하다의 뜻도 있음

2. ‘베다’의 뜻과 쓰임

베다’칼이나 날카로운 것으로 자르다 또는 무엇을 베고 눕다는 두 가지 뜻을 가집니다.

✅ 주요 의미별 예문

➤ (1) 자르다

  • 도마 위에 오이를 얇게 베다.
  • 칼에 손을 벴다.
  • 낫으로 풀을 베었다.

➤ (2) 무언가를 베고 눕다

  • 베개를 베다.
  • 팔을 베고 잠들었다.
  • 책을 베고 누워 있었다.

📌 핵심 포인트

  • 날카로운 것으로 자르는 동작
  • 무언가를 머리 밑에 받치는 행위 (베개, 팔 등)

3. 비교 요약표

구분 배다 베다
품사 동사 동사
주요 의미 스며들다, 깃들다, 임신하다 자르다, 눕다
쓰임 냄새, 감정, 습관, 임신 등 칼질, 눕기
예문 냄새가 옷에 배다
아이를 배다
팔을 베다
종이를 베다
발음 [배ː다] [베다]
 

4. 헷갈리는 예문 정리

문장 정답 이유
땀 냄새가 옷에 ___ 배다 냄새가 스며든 상황
칼에 손을 ___ 베다 자르는 동작
팔을 ___ 누웠다 베다 팔을 받침으로 사용
그의 말에는 진심이 ___ 있다 배다 감정이 스며 있는 상태
부인이 아이를 ___ 배다 임신하다 뜻
 

5. 구분 팁! 이렇게 기억하세요

🎯 기억 공식

  • 배다 = 스며든다 / 익숙해진다 / 생긴다
    👉 냄새가 배고, 감정이 배고, 아이가 배는 것
  • 베다 = 자른다 / 눕는다
    👉 칼로 자르고, 팔을 베고 눕는 것

👉 “스며드는 건 배고, 자르는 건 베다”


6. 마무리 정리

구분 키워드 '배다' '베다'
성질, 냄새, 습관
임신
칼질, 자르기
베개, 팔을 받치기
 

틀리기 쉬운 표현일수록 정확히 구분해두면 말과 글의 품격이 높아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