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재밌다 vs 재미있다’ 올바른 표현은?

by 쏘쏘라이프 2025. 8. 23.

목차

    반응형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재밌다’와 ‘재미있다’입니다.

    두 단어 모두 많이 쓰이다 보니 어떤 게 맞는 표현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사람은 “재밌다”가 맞다고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재미있다”가 맞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국어 규범에 따르면 정확한 표현은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재밌다 vs 재미있다 차이, 올바른 맞춤법, 실제 사용 현황까지 꼼꼼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재미있다’가 원형

    먼저 기본이 되는 표현은 ‘재미있다’입니다.

    • 의미: 흥미가 있거나 즐거움이 있다.
    • 예문:
      • 그 영화는 정말 재미있다.
      • 책 내용이 생각보다 재미있다.

    👉 즉,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원래 표현은 ‘재미있다’입니다.
    ‘재밌다’는 여기서 줄어든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재밌다’도 표준어일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재밌다’ 역시 표준어로 인정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재밌다’를 ‘재미있다’의 준말로 인정하고 있으며, 실제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재밌다’라는 표제가 등재되어 있습니다.

    즉,

    • 재미있다 = 원형, 정식 표현
    • 재밌다 = 구어체, 준말

    둘 다 표준어이지만, 격식 있는 글에서는 ‘재미있다’가 권장되고, 일상 대화나 SNS, 블로그 글에서는 ‘재밌다’도 자연스럽게 쓰입니다.


    3. ‘재밌다 vs 재미있다’ 사용 차이

    구분 특징 예시
    재미있다 원형, 격식적인 표현, 공식 문서/보고서/논문에서 권장 "그 책은 무척 재미있다."
    재밌다 준말, 구어체 표현, 대화/일상 글쓰기에서 많이 사용 "영화 진짜 재밌다!"

    👉 따라서 글을 쓸 때 문맥과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실제 사용 빈도

    재미있는 사실은, 실제 사용 빈도를 보면 사람들이 ‘재밌다’를 더 많이 씁니다.
    SNS나 블로그, 카카오톡 대화에서는 대부분 ‘재밌다’를 쓰지만,

    신문 기사나 책, 학교 교재에서는 ‘재미있다’를 주로 씁니다.

     

    즉, 말할 때는 ‘재밌다’, 글 쓸 때는 ‘재미있다’라고 기억하면 큰 무리가 없습니다.


    5. 자주 틀리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재밌는’을 ‘재미있는’과 혼동해서 잘못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둘 다 가능합니다.

    • 오늘 본 드라마 진짜 재밌는 드라마였다. (⭕)
    • 오늘 본 드라마 진짜 재미있는 드라마였다. (⭕)

    👉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격식 여부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6. 국립국어원의 입장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재미있다: 흥미나 즐거움이 있다.
    • 재밌다: ‘재미있다’의 준말.

    즉, 두 단어 모두 공식적으로 표준어로 인정되며, 문맥에 따라 적절히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 예문으로 비교하기

    1. 오늘 본 영화가 정말 (재밌다 / 재미있다).
      👉 둘 다 맞지만, 보고서에서는 재미있다가 더 적절.
    2. 아이들이 놀이공원에서 (재밌게 / 재미있게) 놀았다.
      👉 둘 다 맞지만, 블로그 글에서는 재밌게가 더 자연스러움.
    3. 선생님 수업이 생각보다 (재밌다 / 재미있다).
      👉 공식 시험 답안이라면 재미있다, 일상 대화라면 재밌다.

    8. 맞춤법 퀴즈

    마지막으로 간단한 퀴즈를 풀어봅시다.

    1. 오늘 강연은 정말 (재밌었다 / 재미있었다).
      👉 정답: 둘 다 맞음 (공식 문서 → 재미있었다 / 일상 글 → 재밌었다)
    2. 아이들이 책을 (재밌게 / 재미있게) 읽었다.
      👉 정답: 둘 다 맞음 (격식 vs 구어체 차이)
    3. 그 사람의 이야기는 늘 (재밌다 / 재미있다).
      👉 정답: 둘 다 맞음


    마무리

    정리하면, ‘재미있다’와 ‘재밌다’는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 재미있다 → 원형, 격식적인 표현, 공식 문서에 사용
    • 재밌다 → 준말, 구어체, 일상 대화나 SNS에 사용

    따라서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재미있다’,

    일상적인 자리에서는 ‘재밌다’를 쓰면 자연스럽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