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한국어에는 과거를 회상하거나 경험을 떠올릴 때 사용하는 어미가 여럿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던’과 ‘-었던(았던, 었던)’입니다.
두 표현 모두 ‘과거’를 가리키지만, 의미와 쓰임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 차이를 쉽고 정확하게 설명해드릴게요!
1. ‘-던’의 의미와 특징
‘-던’은 과거의 미완료 또는 과거의 습관,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즉, 어떤 일이 지속되었거나 진행 중이었으나, 끝났는지는 모를 때 쓰입니다.
✅ 예문
- 내가 자주 가던 카페
- 어릴 때 살던 동네
- 그 사람이 하던 말 기억나?
📌 특징 요약:
- 과거의 진행 중인 동작
- 과거에 자주 했던 일(습관)
- 끝났는지 여부가 불분명
2. ‘-었던’(았던/었떤)의 의미와 특징
‘-었던’은 과거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즉, 이미 끝난 행동이나 상태를 말할 때 사용합니다.
‘던’에 비해 더 강한 회상 또는 끝남의 의미가 포함됩니다.
✅ 예문
- 예전에 갔었던 식당
- 그때 읽었던 책 정말 좋았어
- 졸업식 날 입었던 교복
📌 특징 요약:
- 과거에 끝난 일
- 한 번의 구체적인 경험
-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과거 느낌
3. ‘-던’ vs ‘-었던’ 비교표
구분 | -던 | -었던(았던/었떤) |
시제 느낌 | 과거의 미완료, 반복, 습관 | 과거의 완료, 종료 |
현재와 관계 | 지금도 그럴 수 있음 | 지금은 그렇지 않음 |
의미 | 진행 중이던 과거 | 끝난 과거 |
예문 | 내가 다니던 학교 (지금도 다닐 수도 있음) | 내가 다녔던 학교 (지금은 다니지 않음) |
뉘앙스 | 가볍고 부드러운 회상 | 좀 더 구체적이고 뚜렷한 회상 |
4. 헷갈리는 예문 비교
① 내가 살던 집 vs 내가 살았던 집
- 살던 집 → 과거에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을 가능성 있음
- 살았던 집 → 과거에 살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완전히 과거)
② 입던 옷 vs 입었던 옷
- 입던 옷 → 평소 자주 입었던 옷, 지금도 입을 수 있음
- 입었던 옷 → 그때 한 번 입었고, 지금은 안 입는 옷일 가능성이 큼
③ 보던 드라마 vs 보았던 드라마
- 보던 드라마 → 과거에 계속 보던 드라마 (아직 안 끝났을 수도 있음)
- 보았던 드라마 → 다 본 드라마, 끝난 기억을 회상
5. 간단 구분 팁! 이렇게 기억하세요
질문 | 사용 표현 |
과거에 계속 하던 일? | -던 |
과거에 끝난 일, 단발성 경험? | -었던 |
지금도 하고 있을 수 있나? | 그럼 -던 |
지금은 절대 안 한다면? | -었던이 자연스러움 |
🎯 암기 팁:
- -던 = 지금도 가능
- -었던 = 지금은 끝난 과거
6. 마무리 정리
‘-던’과 ‘-었던’은 모두 과거를 회상할 때 쓰이지만,
✔ ‘-던’은 지속적이고 미완료된 상태,
✔ ‘-었던’은 완료되고 끝난 경험을 표현합니다.
말과 글의 뉘앙스를 정확히 살리기 위해서는 이 두 표현의 차이를 잘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특히 에세이, 소설, 일기, 이메일 등에서 표현력을 높이려면 꼭 알아둬야 할 문법이에요!
반응형
'알쓸쓸잡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늘이다 vs 늘리다’ 정확히 구분하기 (0) | 2025.07.10 |
---|---|
헷갈리는 맞춤법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제대로 구분하기 (7) | 2025.07.09 |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확실하게 구분하기 (6) | 2025.07.08 |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 완벽 정리! (4) | 2025.07.08 |
‘걷잡다’ vs ‘겉잡다’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히 구분하기 (2)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