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늘이다 vs 늘리다’ 정확히 구분하기

by 쏘쏘라이프 2025. 7. 10.

목차

    반응형

    ‘늘이다’와 ‘늘리다’는 발음도 비슷하고 쓰임새도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뜻과 쓰임이 다른 동사입니다.
    잘못 사용하면 문장 전체의 뉘앙스가 어색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 두 표현의 차이, 예문, 구분 팁까지 깔끔하게 알려드릴게요!


    1. ‘늘이다’의 뜻과 쓰임

    ‘늘이다’는 길게 처지거나 아래로 쭉 펴다라는 의미입니다.
    주로 물리적으로 길이를 길게 ‘펴거나 드리우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예문

    • 빨랫줄에 옷을 늘이다.
    • 실을 길게 늘였다.
    • 아이가 팔을 쭉 늘이고 기지개를 켰다.
    • 벽에 걸린 전선이 축 늘어져 늘여져 있다.

    📌 핵심 의미:

    • 실제로 길게 뻗거나 처지게 하는 동작
    • 물체가 아래로 처지거나 펴지는 경우

    2. ‘늘리다’의 뜻과 쓰임

    ‘늘리다’는 수량, 수치, 범위, 능력 등을 많아지게 하다는 의미입니다.
    즉, 양적·질적 증가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예문

    • 근무 시간을 1시간 늘리다.
    • 학생 수를 늘리기 위해 홍보를 강화했다.
    • 근력을 늘리는 운동이 필요하다.
    • 매출을 2배로 늘렸다.

    📌 핵심 의미:

    • 숫자, 수량, 범위, 능력, 시간 등을 증가시키다
    •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리적인 대상에도 사용 가능

    3. 비교 요약표

    구분 늘이다 늘리다
    길게 펴거나 처지게 하다 수량·시간·능력 등을 많게 하다
    대상 줄, 팔, 전선 등 물리적 대상 시간, 양, 숫자, 능력 등
    예시 줄을 늘이다, 팔을 늘이다 시간을 늘리다, 매출을 늘리다
    느낌 형태적 변화 양적 변화
     

    4. 헷갈리는 예문 정리

    ① 밧줄을 길게 ___
    늘이다 (밧줄은 실제 길게 처지는 물건이므로)

    ② 업무 시간을 하루 2시간 ___
    늘리다 (시간은 양적 개념이므로)

    ③ 옷걸이에 수건을 주욱 ___
    늘이다 (수건은 물리적으로 펴는 대상)

    ④ 공부 시간을 조금씩 ___
    늘리다 (공부 시간은 수량 개념)

    ⑤ 팔을 위로 쭉 ___ 기지개를 켰다
    늘이다 (팔을 펴는 물리적 동작)


    5. 구분 꿀팁! 이렇게 외우자

    🎯 기억 공식

    • 늘이다 → 길~게 '이'어지다
      → 형태나 줄의 길이처럼 물리적으로 늘어지는 것
      (※ ‘이’ = 이어지다, 뻗다 느낌!)
    • 늘리다 → 수를 '리'이게 하다
      → 수, 양, 시간, 능력을 증가시킬 때
      (※ ‘리’ = 수리, 처리, 확대 느낌!)

    6. 마무리: 형태는 ‘늘이다’, 수량은 ‘늘리다’!

    ‘늘이다’와 ‘늘리다’는
    ✔ 둘 다 "길어진다"는 개념은 공통이지만,
    대상이 물리적인가, 추상적인가에 따라 사용이 달라집니다.

    말이나 글에서 정확한 표현을 위해,
    형태적 변화면 ‘늘이다’, 수량적 변화면 ‘늘리다’를 꼭 기억해두세요!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