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맞춤법

헷갈리는 표현 ‘정정 vs 수정’, 어떻게 다를까?

by 쏘쏘라이프 2025. 7. 19.

목차

    반응형

    “오타가 있어서 문서를 ___했습니다.”
    “규정이 바뀌어 계획을 ___했어요.”
    이 문장에서 각각 들어갈 말은 ‘정정’일까요, 수정일까요?

     

    👇 정확한 개념, 쓰임, 예문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1. ‘정정(訂正)’의 뜻과 쓰임

    ✅ 한자 뜻

    • 訂(정): 바로잡을 정
    • 正(정): 바를 정
      👉 잘못된 것을 ‘올바르게 고치는 것’

    ✅ 의미

    ✔️ 명백한 오류(틀림)를 정확하게 고치는 것
    ✔️ 사실관계나 표현이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 주로 쓰이는 곳

    • 문서, 기록, 오타, 발표 자료 등
    • 공적인 정오표(正誤表)에서 자주 사용

    ✅ 예문

    • 문서에 오타가 있어 정정했습니다.
    • 방송 중 잘못된 정보를 정정합니다.
    • 통계 수치를 정정 공시합니다.
    • 책자에 표기 오류가 있어 정정표를 배포했습니다.

    📌 핵심:
    명백히 ‘틀린 것’을 고칠 때 사용!


    2. ‘수정(修正)’의 뜻과 쓰임

    ✅ 한자 뜻

    • 修(수): 닦을 수
    • 正(정): 바를 정
      👉 전체 내용을 다듬어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는 것

    ✅ 의미

    ✔️ 잘못되지는 않았지만 내용을 다듬거나 고치는 것
    ✔️ 표현을 바꾸거나 내용을 보완·변경하는 행위

    ✅ 주로 쓰이는 곳

    • 글쓰기, 계획 변경, 디자인, 시스템 설정, 법안 등
    • 단순 오타가 아니라 개선, 조율, 조정의 의미가 있을 때

    ✅ 예문

    • 발표 자료를 더 보기 좋게 수정했어요.
    • 디자인을 약간 수정했습니다.
    • 초안을 검토한 뒤 수정 보완했습니다.
    • 정책안 내용을 일부 수정할 필요가 있어요.

    📌 핵심:
    내용을 다듬거나 더 나은 방향으로 바꿀 때 사용!


    3. 비교 요약표

    구분 정정(訂正) 수정(修正)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더 낫게 다듬거나 고침
    목적 틀린 점을 ‘맞게’ 고침 내용이나 표현을 조정
    사용 상황 오타, 오류, 숫자 착오 등 문장 개선, 디자인 변경
    의미 중심 오류 수정 품질 향상, 표현 개선
    예시 오타 정정, 사실 정정 원고 수정, 계획 수정
     

    4. 자주 헷갈리는 예문 정리

    문장 정답 이유
    숫자에 오류가 있어 ___했습니다 정정 명백한 오류
    문장이 어색해서 조금 ___했어요 수정 더 자연스럽게
    통계 수치를 ___ 공시했습니다 정정 수치 오류 수정
    기획서를 전체적으로 다시 ___했어요 수정 구조 개선
    이전 발언은 잘못된 것으로 ___합니다 정정 사실관계 오류
     

    5. 쉽게 구분하는 꿀팁

    🎯 기억 공식

    • 정정 = 정오표, 틀린 것을 맞게 고침
      → 오타, 오류, 잘못된 정보
    • 수정 = 다듬고 고쳐 더 좋게 만듦
      → 표현 개선, 계획 변경, 내용 보완

    ✔️ ‘틀린 것’이면 정정 / ‘더 나은 방향’이면 수정!


    6. 마무리 정리

    항목 정정(訂正) 수정(修正)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음 내용·표현을 조정하고 다듬음
    뉘앙스 오류 고침 개선 또는 보완
    예문 오타 정정, 정정 방송 글 수정, 디자인 수정
    사용 시점 틀린 것이 있을 때 더 좋은 결과를 원할 때
     

    👉 오류는 정정하고,
    👉 내용은 수정하세요!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