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계약 전에 충분한 ___가 필요합니다.”
“최종적으로 ___에 도달했다.”
이 문장에서 각각 들어갈 말은 ‘협의’일까요, 합의일까요?
👇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 계약 전에 충분한 → 협의
- 최종적으로 도달했다 → 합의
즉,
✅ ‘협의’는 ‘논의하는 과정’,
✅ ‘합의’는 ‘의견이 일치된 결과’입니다!
1. ‘협의(協議)’의 뜻과 쓰임
✅ 한자 뜻
- 協(협): 서로 도울 협
- 議(의): 의논할 의
👉 서로 도우며 의논하는 것 = 협의
✅ 의미
✔️ 의견을 나누며 논의하는 ‘과정’ 자체
✔️ 결정되기 전의 대화, 조율, 협상 단계
✅ 예문
- 계약 조건을 놓고 양측이 협의 중이다.
- 변경 사항은 부서 간 협의 후 진행하겠습니다.
- 사전 협의 없이 공사를 시작해서 문제가 발생했다.
-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
📌 핵심 포인트:
→ 아직 결정되지 않음!
→ 여러 사람이 모여 논의·조율하는 상황
2. ‘합의(合意)’의 뜻과 쓰임
✅ 한자 뜻
- 合(합): 합할 합
- 意(의): 뜻 의
👉 뜻이 모이다, 생각이 하나로 합쳐짐 = 합의
✅ 의미
✔️ 여러 사람의 의견이 일치되어 ‘결정된 상태’
✔️ 논의 끝에 이루어진 결과나 약속
✅ 예문
- 양측이 가격에 합의했다.
- 합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했다.
- 원만한 합의로 소송을 취하했다.
- 노사 간의 합의가 결렬되었다.
📌 핵심 포인트:
→ 논의 결과가 확정됨!
→ 서로의 의견이 최종적으로 일치
3. 비교 요약표
구분 | 협의(協議) | 합의(合意) |
의미 | 의견을 나누는 과정 | 의견이 모여 결정된 상태 |
시점 | 진행 중, 조율 중 | 완료, 결정 후 |
법적 효력 | 보통 없음 | 법적 효력 있음 (합의서 등) |
키워드 | 논의, 협상, 조율 | 결정, 동의, 약속 |
예문 | 협의 중, 협의 필요 | 합의 완료, 합의 조건 |
4. 자주 헷갈리는 예문 정리
문장 | 올바른표현 | 이유 |
양측은 보상을 놓고 ___ 중이다 | 협의 | 아직 논의 중 |
가격에 대한 ___가 이루어졌다 | 합의 | 결정됨 |
부서 간 ___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됐다 | 협의 | 사전 논의가 없었음 |
최종적으로 ___에 서명했다 | 합의 | 결과에 도달함 |
판결 전 원고와 피고가 ___했다 | 합의 | 분쟁 해결 결정 |
5. 쉽게 구분하는 팁
🎯 기억 공식
- 협의 = 회의 중
→ 말하는 중, 결정 전
→ 논의, 협상, 조율 - 합의 = 회의 끝
→ 의견 일치, 결정 완료
→ 약속, 계약, 동의
✔️ 말하는 중이면 협의 / 말 다 끝났으면 합의!
마무리 정리
항목 | 협의 | 합의 |
뜻 | 논의하는 과정 | 뜻이 모여 결정된 결과 |
상태 | 미확정 | 확정 |
주 사용 문맥 | 회의, 협상, 조율 | 계약, 법적 합의, 해결 |
예문 | 협의 중, 협의 필요 | 합의에 도달, 합의 성립 |
법적 효력 | 없음 또는 약함 | 있음 (합의서 등으로) |
👉 협의는 대화 중,
👉 합의는 대화 끝!
반응형
'알쓸쓸잡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표현 ‘정정 vs 수정’, 어떻게 다를까? (0) | 2025.07.19 |
---|---|
헷갈리는 한자어 ‘결제 vs 결재’, 무엇이 맞을까? (0) | 2025.07.19 |
헷갈리는 높임 표현 ✅‘뵐게요’ vs ❌‘봴게요’, 무엇이 맞을까? (2) | 2025.07.18 |
헷갈리는 한자어 ❌‘채납’ vs ✅’체납’, 무엇이 맞을까? (1) | 2025.07.18 |
헷갈리는 맞춤법 ‘-한 체 vs -한 채’ 완벽 비교! (2)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