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쓸잡/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안 돼‘ vs ❌‘않 돼’, 정답은?

by 쏘쏘라이프 2025. 7. 17.
반응형

정답은 ‘안 돼’입니다.
‘않 돼’틀린 표현이며, 국어 문법상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

👇 아래에서 자세한 설명과 예문을 함께 보시죠!


1. ‘안 돼’의 뜻과 구조

‘안 돼’ = ‘아니 + 되다’의 줄임말입니다.
✔️ 어떤 일이 허용되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 ‘되다’의 부정형이죠.

✅ 예문

  • 지금 들어가면 안 돼.
  • 이건 하면 안 돼.
  • 걱정하지 마, 너는 절대 실패하면 안 돼.
  • 숙제 안 하면 안 돼.

📌 핵심 의미:
허용X, 금지, 불가능
→ “되면 안 된다” → 줄이면 “안 돼


2. ‘않 돼’는 왜 틀릴까?

‘않 돼’는 문법적으로 성립 불가한 조합입니다.

  • ‘않다’는 동사로, 동작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 먹지 않다, 가지 않다, 공부하지 않다
  • 그런데 ‘않’은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다’나 활용형과 결합해야 합니다.
    즉, ‘않 돼’라는 말은 어법에 맞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 ‘않 돼’ = 잘못된 줄임말
✅ 올바른 표현: ‘안 돼’


3. 비교 요약표

구분 안 돼 않 돼
품사 부정 부사 + 동사 ❌ 잘못된 조합
구성 안(=아니) + 되다 없음 (문법에 어긋남)
되지 않는다, 불가능 ❌ 의미 없음
예문 지금 하면 안 돼 ❌ 지금 하면 않 돼 (X)
 

4. 자주 헷갈리는 예문 정리

문장 맞는 표현 이유
지금 가면 ___ 안 돼 허용되지 않음 → 되다의 부정
그렇게 하면 ___ 안 돼 금지의 의미
네가 없으면 ___ 안 돼 없어선 안 됨 → 부정
❌ ‘그렇게 하면 않 돼’ ❌ 틀림 ‘않’은 부정 동사로만 사용됨
 

5. 관련 표현과 차이점

표현 의미 예문
안 돼 ‘되다’의 부정 (허용 불가) 지금 하면 안 돼
않다 어떤 동작을 하지 않음 나는 먹지 않는다
안 하다 ‘하다’의 부정 공부를 안 해도 된다
 

✔️ ‘안’은 부사(아니)
✔️ ‘않’은 동사(않다)
→ 서로 역할이 다릅니다!


마무리 정리

상황 올바른표현 이유
어떤 일이 허용되지 않을 때 안 돼 ‘되다’의 부정형
동작을 하지 않음을 표현할 때 않다 ‘먹지 않다’, ‘하지 않다’
‘않 돼’ ❌ 잘못된 표현 문법상 불가능
 

👉 “무언가 하면 안 돼!”
👉 “‘않 돼’는 쓰면 안 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