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 정답은 ‘안 돼’입니다.
‘않 돼’는 틀린 표현이며, 국어 문법상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
👇 아래에서 자세한 설명과 예문을 함께 보시죠!
1. ‘안 돼’의 뜻과 구조
‘안 돼’ = ‘아니 + 되다’의 줄임말입니다.
✔️ 어떤 일이 허용되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 ‘되다’의 부정형이죠.
✅ 예문
- 지금 들어가면 안 돼.
- 이건 하면 안 돼.
- 걱정하지 마, 너는 절대 실패하면 안 돼.
- 숙제 안 하면 안 돼.
📌 핵심 의미:
→ 허용X, 금지, 불가능
→ “되면 안 된다” → 줄이면 “안 돼”
2. ‘않 돼’는 왜 틀릴까?
‘않 돼’는 문법적으로 성립 불가한 조합입니다.
- ‘않다’는 동사로, 동작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 먹지 않다, 가지 않다, 공부하지 않다 - 그런데 ‘않’은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다’나 활용형과 결합해야 합니다.
즉, ‘않 돼’라는 말은 어법에 맞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 ‘않 돼’ = 잘못된 줄임말
✅ 올바른 표현: ‘안 돼’
3. 비교 요약표
구분 | 안 돼 | 않 돼 |
품사 | 부정 부사 + 동사 | ❌ 잘못된 조합 |
구성 | 안(=아니) + 되다 | 없음 (문법에 어긋남) |
뜻 | 되지 않는다, 불가능 | ❌ 의미 없음 |
예문 | 지금 하면 안 돼 | ❌ 지금 하면 않 돼 (X) |
4. 자주 헷갈리는 예문 정리
문장 | 맞는 표현 | 이유 |
지금 가면 ___ | 안 돼 | 허용되지 않음 → 되다의 부정 |
그렇게 하면 ___ | 안 돼 | 금지의 의미 |
네가 없으면 ___ | 안 돼 | 없어선 안 됨 → 부정 |
❌ ‘그렇게 하면 않 돼’ | ❌ 틀림 | ‘않’은 부정 동사로만 사용됨 |
5. 관련 표현과 차이점
표현 | 의미 | 예문 |
안 돼 | ‘되다’의 부정 (허용 불가) | 지금 하면 안 돼 |
않다 | 어떤 동작을 하지 않음 | 나는 먹지 않는다 |
안 하다 | ‘하다’의 부정 | 공부를 안 해도 된다 |
✔️ ‘안’은 부사(아니)
✔️ ‘않’은 동사(않다)
→ 서로 역할이 다릅니다!
마무리 정리
상황 | 올바른표현 | 이유 |
어떤 일이 허용되지 않을 때 | 안 돼 | ‘되다’의 부정형 |
동작을 하지 않음을 표현할 때 | 않다 | ‘먹지 않다’, ‘하지 않다’ |
‘않 돼’ | ❌ 잘못된 표현 | 문법상 불가능 |
👉 “무언가 하면 안 돼!”
👉 “‘않 돼’는 쓰면 안 돼!”
반응형
'알쓸쓸잡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한자어 ❌‘채납’ vs ✅’체납’, 무엇이 맞을까? (1) | 2025.07.18 |
---|---|
헷갈리는 맞춤법 ‘-한 체 vs -한 채’ 완벽 비교! (2) | 2025.07.17 |
헷갈리는 맞춤법 ‘채 vs 째’ 완벽 비교! (2) | 2025.07.16 |
헷갈리는 맞춤법 ‘한참 vs 한창’, 언제 어떻게 쓰일까? (0) | 2025.07.16 |
헷갈리는 맞춤법 ‘어느 vs 여느’, 어떻게 구분할까? (4)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