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쓸쓸잡/맞춤법34

헷갈리는 맞춤법 ‘-한 체 vs -한 채’ 완벽 비교! “모른 ___ 하고 지나쳤다.”“옷을 입은 ___ 잠이 들었다.”이 빈칸에 들어갈 말은 각각 ‘체’일까요, 채일까요?👇 아래에서 뜻, 예문, 문법 차이까지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1. ‘-한 채’의 뜻과 쓰임✅ 의미‘어떤 상태를 유지한 그대로’라는 뜻의 부사격 조사입니다.✔️ 상태나 동작이 끝나지 않은 중간 상태에서 다른 동작이 이어질 때 사용합니다.✅ 예문신발을 신은 채 방에 들어왔다.불을 켠 채 잠들었다.문을 연 채 나가 버렸다.옷을 입은 채 물에 빠졌다.📌 핵심 포인트:→ 상태 유지→ 동사 앞에 오며 ‘그대로의 상태’를 의미2. ‘-한 체’의 뜻과 쓰임✅ 의미‘어떤 행동을 하는 척하거나 가장하는 경우’에 쓰는 의존 명사입니다.✔️ 보통 ‘-한 체하다’의 형태로 사용되며,✔️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면.. 2025. 7. 17.
헷갈리는 맞춤법✅‘안 돼‘ vs ❌‘않 돼’, 정답은? ✅ 정답은 ‘안 돼’입니다.‘않 돼’는 틀린 표현이며, 국어 문법상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설명과 예문을 함께 보시죠!1. ‘안 돼’의 뜻과 구조‘안 돼’ = ‘아니 + 되다’의 줄임말입니다.✔️ 어떤 일이 허용되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되다’의 부정형이죠.✅ 예문지금 들어가면 안 돼.이건 하면 안 돼.걱정하지 마, 너는 절대 실패하면 안 돼.숙제 안 하면 안 돼.📌 핵심 의미:→ 허용X, 금지, 불가능→ “되면 안 된다” → 줄이면 “안 돼”2. ‘않 돼’는 왜 틀릴까?‘않 돼’는 문법적으로 성립 불가한 조합입니다.‘않다’는 동사로, 동작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예: 먹지 않다, 가지 않다, 공부하지 않다그런데 ‘않’은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 2025. 7. 17.
헷갈리는 맞춤법 ‘채 vs 째’ 완벽 비교! “옷을 입은 ___ 잠이 들었다.”“두 번째로 도착한 사람은?”여기서 각각 들어갈 표현은 채일까요, 째일까요? 👇 아래에서 뜻, 쓰임, 예문, 구분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1. ‘채’의 뜻과 쓰임‘채’는 어떤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 채로라는 의미입니다.✔️ 상태나 동작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동작이 이어질 때 사용합니다.✔️ 부사격 조사 또는 의존 명사로 쓰입니다.✅ 예문신발을 신은 채 방에 들어왔다.문을 연 채 나갔다.전깃불을 켠 채 잠들었다.옷을 입은 채 물에 빠졌다.📌 핵심 의미→ 어떤 상태를 유지하면서→ ~한 상태 그대로2. ‘째’의 뜻과 쓰임**‘째’는 ‘그 수, 그 단위 전체를 통틀어’**라는 의미입니다.✔️ 숫자, 순서, 양 등을 강조할 때 쓰며, 의존 명사입니다.✔️ 첫째, .. 2025. 7. 16.
헷갈리는 맞춤법 ‘한참 vs 한창’, 언제 어떻게 쓰일까? “그는 지금 일이 ___ 바쁘다.”“___을 기다렸는데 왜 안 왔어?”여기 들어갈 표현은 한참일까요, 한창일까요?👇 아래에서 두 표현의 의미, 차이, 예문, 구분 팁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1. ‘한참’의 뜻과 쓰임‘한참’은 상당히 긴 시간 동안을 의미합니다.✔️ 시간의 길이나 시간이 지체됨에 초점을 둡니다.✅ 예문한참 동안 기다렸어.수업이 시작된 지 한참 지났어.그 사람은 한참 후에 도착했다.전화벨이 울린 지 한참 뒤에 받았다.📌 핵심 의미→ 시간이 길게 흐름, 시간적 거리감→ 뭔가를 오래 하거나 늦게 하는 상황. ‘한창’의 뜻과 쓰임‘한창’은 어떤 일이나 상태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절정, 가장 왕성한 시기에 초점을 둡니다.✅ 예문지금 한창 바쁠 때예요.꽃이 한창 피었.. 2025. 7. 16.
헷갈리는 맞춤법 ‘어느 vs 여느’, 어떻게 구분할까? “___ 날과 다름없었다”“___ 학교를 다니세요?”위 빈칸에 들어갈 말은 어느일까요, 여느일까요?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되기 쉽지만, 의미와 쓰임이 완전히 다릅니다.1. ‘어느’의 뜻과 쓰임‘어느’는 여러 대상 중 ‘어떤 것’을 가리키는 의문 관형사입니다.✔️ 질문할 때나 특정하지 않은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선택, 비교, 특정과 관련된 문장에서 쓰입니다.✅ 예문어느 학교에 다니세요?어느 쪽이 더 좋아요?너는 어느 팀을 응원해?어느 책이 제일 재미있었어?📌 핵심 의미:→ 불특정한 대상 중 ‘어떤 하나’를 고르거나 묻는 말→ 의문사 / 선택지 / 비교2. ‘여느’의 뜻과 쓰임‘여느’는 ‘보통의, 일반적인’이라는 뜻의 관형사입니다.✔️ 의문 표현이 아니며, 평범하거나 흔한 상황을 말할 .. 2025. 7. 15.
헷갈리는 맞춤법 ‘왠지 vs 웬지’, 어떤 게 맞을까? 👉 “왠지 기분이 이상해.”👉 “웬지 오늘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아.”둘 중 뭐가 맞을까요?정답은 ‘왠지’입니다!그 이유, 뜻, 예문까지 깔끔하게 알려드릴게요!1. ‘왠지’의 뜻과 쓰임‘왠지’는 ‘왜인지’가 줄어든 말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어떤 느낌이나 생각이 드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막연한 추측, 감정, 예감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예문왠지 오늘은 일이 잘 풀릴 것 같다.그 말을 듣고 왠지 슬펐다.왠지 모르게 불안한 기분이 들어.그는 왠지 믿음이 갔다.📌 핵심 의미→ 이유를 알 수 없지만 그런 느낌이 드는 상황→ 감정, 직감, 추측 표현에 자주 사용2. ‘웬지’는 왜 틀릴까?❌ ‘웬지’는 표준어가 아닙니다.‘왠지’의 발음을 듣고 잘못 쓴 비표준 표기예요.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2025. 7. 15.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