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쓸쓸잡/맞춤법34

헷갈리는 맞춤법 ‘않다 vs 안다’ 확실하게 구분하기 우리말에서 자주 사용되는 부정 표현, 바로 ‘않다’와 ‘안다’입니다.짧고 간단해 보이지만 이 둘은 의미도, 품사도 완전히 다릅니다.헷갈려서 잘못 쓰면 문장의 뜻이 어색해지고, 때로는 반대 의미가 될 수도 있죠!오늘 이 글에서는 ‘않다’와 ‘안다’의 정확한 차이점과 쓰임, 그리고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1. ‘않다’는 동사나 형용사를 부정하는 보조 동사‘않다’는 동작이나 상태를 부정할 때 쓰는 보조 동사입니다.주로 안 + 하다의 격식체 표현이죠.다양한 동사나 형용사와 함께 쓰이며, 서술어(문장의 동사나 형용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문나는 숙제를 하지 않았다.그 말이 믿기지 않는다.노력하지 않으면 결과도 없다.그는 대답조차 않았다.📌 ‘~하지 않다’, ‘~되지 않다’, ‘~보지 않다.. 2025. 7. 8.
헷갈리는 맞춤법 ‘되다 vs 돼’ 완벽 정리! 한국어 맞춤법 중에서도 특히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표현이 있습니다.바로 ‘되다’와 ‘돼’인데요.이 두 단어는 발음이 같아서 더더욱 혼동하기 쉽죠. 하지만 정확히 알고 쓰면 실수할 일이 없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되다’와 ‘돼’의 정확한 차이와 쉽게 구분하는 법, 예문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1. ‘되다’의 의미와 쓰임‘되다’는 동사로서 어떤 상태나 상황으로 바뀌다, 이뤄지다라는 뜻을 가집니다.문장에서 다양한 시제로 활용되며, 기본형 그대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문그는 꿈에 그리던 의사가 되다.이 일이 잘 되면 좋겠다.너처럼 되기 위해 노력했어.아무 일도 되지 않았다.📌 ‘되다’는 활용형이 아닙니다. 기본형 그대로 사용됩니다.2. ‘돼’는 ‘되+어’가 줄어든 말‘돼’는 ‘되다’ + ‘어’가 결.. 2025. 7. 8.
‘걷잡다’ vs ‘겉잡다’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히 구분하기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이 있습니다.바로 ‘걷잡다’와 ‘겉잡다’인데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 예문까지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1. ‘걷잡다’의 뜻과 쓰임‘걷잡다’는 일이 더 이상 커지거나 악화되지 않도록 다잡다, 진정시키다는 의미입니다.주로 감정, 상황, 사태 등을 진정시키거나 통제하려 할 때 사용합니다.📌 참고: ‘걷잡다’는 ‘걷다(수습하다)’ + ‘잡다’의 합성어입니다.✅ 예문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그는 분노를 걷잡지 못했다.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고 있다.🔎 정리 키워드: 진정, 수습, 통제, 억제, 감정, 상황2. ‘겉잡다’의 뜻과 쓰임‘겉잡다’는 어떤 수량.. 2025. 7. 7.
헷갈리는 맞춤법! ‘맞히다’ vs ‘맞추다’ 정확히 알고 쓰자 일상 속에서 자주 쓰지만 매번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맞히다’와 ‘맞추다’입니다.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이 다르고, 쓰임새도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면 문장의 의미까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점과 정확한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맞히다’의 뜻과 쓰임‘맞히다’는 정답이나 목표 등을 정확하게 알아맞히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퀴즈나 문제의 정답을 알았을 때 사용하는 단어죠.📌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입니다. 누군가 어떤 것을 정확히 알아내게 했다는 느낌이 포함되어 있죠.✅ 예문으로 확인해보기그는 퀴즈의 정답을 모두 맞혔다.복권 번호를 정확히 맞혔대요!오늘은 비가 올지 안 올지 맞히기 어렵네.🔎 정리 키워드: 정답, 문제, 퀴즈, 예언 등 정확히 알아내다2. .. 2025. 7. 7.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