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쓸쓸잡/맞춤법34

헷갈리는 맞춤법 ‘매다 vs 메다’ 완벽 구분법! ‘넥타이를 맸다’가 맞을까, 멨다가 맞을까?‘가방을 메다’와 ‘매다’ 중 뭐가 맞을까?일상에서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표현, 바로 ‘매다’와 ‘메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의 차이점, 예문, 구별 팁까지 정리해 드릴게요!1. ‘매다’의 뜻과 쓰임‘매다’는 묶다, 줄로 조이다, 묶어서 고정시키다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 사용됩니다:묶는 행위끈·줄 등을 조여서 고정하는 것✅ 예문넥타이를 매다.신발끈을 매다.허리띠를 매다.머리를 단정히 매다.밧줄로 짐을 단단히 매다.📌 핵심: 끈, 줄, 띠, 머리 등을 묶거나 고정하는 동작일 때는 항상 ‘매다’!2. ‘메다’의 뜻과 쓰임‘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짊어지다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 사용됩니다:어깨나 .. 2025. 7. 11.
헷갈리는 맞춤법 ❌‘짖밟히다’ vs ✅‘짓밟히다’ 우리가 흔히 분노나 억압, 탄압의 상황을 표현할 때“권리에 짓밟히다”, “인권이 짓밟혔다” 등의 말을 사용하죠.하지만 이 표현을 쓸 때 ‘짖밟히다’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정답: ‘짓밟히다’ ✅‘짖밟히다’ ❌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 즉 비표준어입니다.1. ‘짓밟히다’의 뜻‘짓밟히다’는 동사 ‘짓밟다’의 피동형으로,거칠게 밟혀서 망가지거나 모욕당하다, 억압당하다는 뜻입니다.즉, 누군가의 발에 의해 강제로 밟히는 상황,또는 존엄성, 권리, 감정이 무시당하고 짓눌리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예문국민의 권리가 짓밟혔다.인권이 무참히 짓밟히는 현실.자존심이 처참히 짓밟혔다.꽃이 군화에 의해 짓밟혔다.📌 주로 추상적 개념(권리, 감정, 인권 등)에도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2. ‘짓밟다’의 어원‘짓.. 2025. 7. 11.
헷갈리는 맞춤법 ‘잊다 vs 잃다’ 정확히 구분하는 법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 ‘잊다’와 ‘잃다’는발음이 비슷해서 자주 혼동되는 대표적인 맞춤법입니다.하지만 이 두 단어는 뜻부터 쓰임까지 완전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잊다’와 ‘잃다’의 차이, 예문, 구분 팁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1. ‘잊다’의 뜻과 쓰임‘잊다’는 기억하고 있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다, 즉 기억에서 사라지다라는 의미입니다.마음속에 있었던 생각이나 사람, 감정을 잊는 상황에 씁니다.✅ 예문중요한 약속을 잊었다.그는 나와의 추억을 잊은 듯하다.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로그인할 수 없었다.그날의 실수를 아직도 잊지 못한다.📌 핵심 키워드:기억, 생각, 감정, 사람, 약속, 추억 → 기억 속에서 사라지는 것2. ‘잃다’의 뜻과 쓰임‘잃다’는 가지고 있던 것을 놓치거나 더 이상.. 2025. 7. 10.
헷갈리는 맞춤법 ‘늘이다 vs 늘리다’ 정확히 구분하기 ‘늘이다’와 ‘늘리다’는 발음도 비슷하고 쓰임새도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엄연히 뜻과 쓰임이 다른 동사입니다.잘못 사용하면 문장 전체의 뉘앙스가 어색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 두 표현의 차이, 예문, 구분 팁까지 깔끔하게 알려드릴게요!1. ‘늘이다’의 뜻과 쓰임‘늘이다’는 길게 처지거나 아래로 쭉 펴다라는 의미입니다.주로 물리적으로 길이를 길게 ‘펴거나 드리우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예문빨랫줄에 옷을 늘이다.실을 길게 늘였다.아이가 팔을 쭉 늘이고 기지개를 켰다.벽에 걸린 전선이 축 늘어져 늘여져 있다.📌 핵심 의미:실제로 길게 뻗거나 처지게 하는 동작물체가 아래로 처지거나 펴지는 경우2. ‘늘리다’의 뜻과 쓰임‘늘리다’는 수량, 수치, 범위, 능력 등을 많아지게 하다는 의.. 2025. 7. 10.
헷갈리는 맞춤법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제대로 구분하기 운전을 하다가, 사람과 스쳤을 때, 물건이 충돌했을 때...우리는 종종 ‘부딪쳤다’, ‘부딪혔다’는 표현을 씁니다.그런데 과연 언제 ‘부딪치다’, 언제 ‘부딪히다’를 써야 맞는 표현일까요?이번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와 정확한 사용법을 예문과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1. ‘부딪치다’의 뜻과 쓰임‘부딪치다’는 능동적 의미를 갖는 동사로,사람이나 사물 등이 스스로 또는 적극적으로 부딪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예문달리던 자전거가 벽에 부딪쳤다.공이 창문에 부딪쳤다.감정이 격해져 서로 언성이 부딪쳤다.두 차가 교차로에서 부딪쳤다.📌 핵심 특징의도가 있든 없든, 충돌이 실제로 일어나는 상황주체의 움직임이 드러남 (능동적인 충돌)2. ‘부딪히다’의 뜻과 쓰임‘부딪히다’는 피동형 동사로,어떤 대상이 외부 힘.. 2025. 7. 9.
헷갈리는 맞춤법 ‘-던 vs -었던’ 차이 완벽 정리! 한국어에는 과거를 회상하거나 경험을 떠올릴 때 사용하는 어미가 여럿 있습니다.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던’과 ‘-었던(았던, 었던)’입니다.두 표현 모두 ‘과거’를 가리키지만, 의미와 쓰임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합니다.이 글에서는 그 차이를 쉽고 정확하게 설명해드릴게요!1. ‘-던’의 의미와 특징‘-던’은 과거의 미완료 또는 과거의 습관,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즉, 어떤 일이 지속되었거나 진행 중이었으나, 끝났는지는 모를 때 쓰입니다.✅ 예문내가 자주 가던 카페어릴 때 살던 동네그 사람이 하던 말 기억나?📌 특징 요약:과거의 진행 중인 동작과거에 자주 했던 일(습관)끝났는지 여부가 불분명2. ‘-었던’(았던/었떤)의 의미와 특징‘-었던’은 과거의 완료를 나타냅니다.즉, 이미 끝난 행.. 2025. 7. 9.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